본문 바로가기
IT Programming/NaverCloud

[Cloud] NCA,NCP - 네이버 클라우드 수업 2일차 (2)

by Euniieunii 2023. 7. 4.

Load balancer

로드 밸런서 Load balancer :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대상 서버 또는 인스턴스에 균등하게 분산시켜주는 장치 또는 서비스

- 로드 밸런서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하여 서비스의 가용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서버 또는 인스턴스에 걸리는 부하를 줄이고, 서비스의 응답 시간을 개선할 수 있으며, 주요 유형으로는 하드웨어 로드 밸런서, 소프트웨어 로드 밸런서, 클라우드 로드 밸런서 등이 있다.

<로드밸런서의 주요 기능>

- 로드밸런서마다 각각 초당 연결수 (CPS) 기준이 다르다

  • Application : 각 30,000 / 60,000 / 90,000 의 분산처리를 보장
  • Network : 각 100,000 / 200,000 / 400,000 의 분산처리를 보장
  • Network Proxy : 각 30,000 / 60,000 / 90,000 의 분산처리를 보장

- 로드밸런싱 알고리즘

  • Round Robin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오면 서버에 1개씩 분배하는 방식
  • Least Connection : 클라이언트 연결이 제일 적은 서버에게 새로운 커넥션을 분배하는 방식
  •  Source IP Hash : 클라이언트 IP에 대한 해시테이블을 가지고 클라이언트 IP에 매핑되는 서버에게 새로운 커넥션을 분배하는 방식

1) 애플리케이션 로드 밸런서 : 애플리케이션 수준에서 작동하며, HTTP 및 HTTPS 트래픽을 처리

2) 네트워크 로드 밸런서 : IP 수준에서 작동하며, TCP, UDP, TLS 트래픽을 처리

3)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 밸런서 : 프록시 수준에서 작동하며, 프록시 프로토콜 트래픽을 처리하고 고급 보안 기능을 제공

 

 


OSI 7 Layer

<OSI 7 layer 참고 사진>

: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을 구성하는 7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모델.
각 계층은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통신의 과정을 단계별로 추상화하여 설명한다.

<OSI 7 Layers>


DNS

DNS 서비스 :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 간의 변환을 수행하는 시스템

- 인터넷에서 컴퓨터 또는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IP 주소가 사용되지만, IP 주소는 기억하기 어렵고 숫자로 이루어져 있어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기 때문에 도메인 이름이 사용되며, DNS는 이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

  • 루트 DNS 서버: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DNS 조회를 처리하는 최상위 서버
  • 최상위 도메인 서버: 각 최상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
  • 중간 도메인 서버: 특정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
  • 최하위 도메인 서버: 도메인의 최하위 수준에 위치한 서버

<DNS 작동 원리 / 출처 : hanamon.kr>

이러한 계층 구조를 통해 DNS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해석하여 인터넷 상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아가는 역할을 수행한다.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CDN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Content Delivery Network) :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기술

< CDN / 출처 :&nbsp;https://goddaehee.tistory.com/ >

CDN은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 대역폭 절감, 글로벌 사용자에 대한 일관된 경험 제공 등에 기여하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컨텐츠를 Caching 하여 지리,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비스

- 원본 서버의 부하를 줄여줌으로써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분산 콘텐츠 전송을 처리하는 데 여러 서버가 참여하므로 대량의 트래픽에도 견딜 수 있다.

- 일부 CDN은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DDoS 공격, 콘텐츠 위조 등의 보안 문제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여러 서버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특정 서버의 장애나 네트워크 문제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최소화할 수 있다.

 

CDN 은 언제 필요할까?

대규모 파일 배포나 이미지 서비스, 동영상 서비스 등 대규모 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웹서버를 통해 배포하게 되면 웹서버의 용량이 기하 급수적으로 커져야 하는데 CDN은 이런 대규모 트래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  CDN과 관련된 용어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