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SQL 단일 행 함수 1) 문자, 숫자, 날짜
함수는 단일 행 함수와 다중 행 함수로 구분할 수 있다. 단일행 함수의 특징 SELECT, WHERE, ORDER BY 절에 사용 가능하다. 각 행(Row)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용하여 데이터 값들을 조작하고, 각각의 행에 대한 조작 결과를 리턴한다. 여러 인자를 입력해도 단 하나의 결과만 리턴한다. 함수의 인자로 상수, 변수, 표현식이 사용 가능하고, 하나의 인수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개의 인수를 가질 수도 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함수의 인자로 함수를 사용하는 함수의 중첩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단일행 함수 중 문자, 숫자, 날짜 관련 함수들을 간단히 표로 정리해 보았다. 1) 문자열 관련 함수 : 문자를 입력하면 문자나 숫자값을 반환한다. --문자 연산 함수 --CONCAT || ..
2023. 4. 20.
[Oracle] SQL 집합 연산자와 SELECT 구문 / 절 zip. (WHERE, IN, AND, OR, BETWEEN-AND)
[ 집합 연산자 ] : 집합연산자는 테이블의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을 구해주는 함수(오라클 내에 구현되어 있는 펑션)이다. 합집합 연산자 : UNION, UNION ALL 교집합 연산자 : INTERSECT 차집합 연산자 : MINUS 다만, 세 연산자 모두 데이터 결과의 컬럼 개수, 컬럼 타입, 컬럼의 명칭은 조회쿼리 1 에서 결정되고, 조회쿼리 1과 조회쿼리 2의 결과의 컬럼개수, 데이터 타입이 일치해야 된다는것을 유의해야 한다. --UNION SELECT column1, column2 FROM table1 UNION SELECT column1, column2 FROM table2; --INTERSECT SELECT column1, column2 FROM table1 I..
2023. 4.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