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일행함수2

[Oracle] SQL 단일 행 함수 2)TO_CHAR, TO_DATE, TO_NUMBER / 변환 함수 형 변환 함수란? (TO_CHAR, TO_DATE, TO_NUMBER) : 문자형, 숫자형, 날짜형 함수를 다른 형으로 변환 시켜주는 기능을 하는 함수. 형 변환 함수를 사용하기전에 알아야할 몇가지 중요한 점들이 있다. 형 변환 함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일부 데이터베이스에는 데이터 형식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형 변환 함수가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베이터 베이스에 따라서 정확한 형변환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의 종속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표준 SQL 형 변환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문자열을 숫자로 변환하는 경우, 문자열에 숫자가 아닌 문자가 포함되어 있으면 형 변환 함수의 사용일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보완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해야 한다. .. 2023. 4. 21.
[Oracle] SQL 단일 행 함수 1) 문자, 숫자, 날짜 함수는 단일 행 함수와 다중 행 함수로 구분할 수 있다. 단일행 함수의 특징 SELECT, WHERE, ORDER BY 절에 사용 가능하다. 각 행(Row)들에 대해 개별적으로 작용하여 데이터 값들을 조작하고, 각각의 행에 대한 조작 결과를 리턴한다. 여러 인자를 입력해도 단 하나의 결과만 리턴한다. 함수의 인자로 상수, 변수, 표현식이 사용 가능하고, 하나의 인수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 여러 개의 인수를 가질 수도 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함수의 인자로 함수를 사용하는 함수의 중첩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단일행 함수 중 문자, 숫자, 날짜 관련 함수들을 간단히 표로 정리해 보았다. 1) 문자열 관련 함수 : 문자를 입력하면 문자나 숫자값을 반환한다. --문자 연산 함수 --CONCAT || .. 2023. 4.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