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Programming23

[Java] 11. 배열 기초 2강 / 배열 기초 예제 1. 배열을 이용하여 소문자와 대문자 바꿔서 출력하기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chArr = {'B', 'c', 'T', 'p', 'P', 'i'}; char[] convertArr = new char[6]; //소문자->대문자 / 대문자->소문자로 변경 후 convertArr에 저장 System.out.println("----대소문자 변경 전-----"); System.out.println(chArr[0]); System.out.println(chArr[1]); System.out.println(chArr[2]); System.out.println(chArr[3]); System.out.println(chArr[4]); System.out.p.. 2023. 4. 12.
[JAVA] 10. int 와 Integer ? / 그리고 WrapperClass int 와 Integer 는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영역 int와 integer 를 처음에는 무엇이 다른지도 모르고 예제를 볼때 그저 끼워 맞추듯 사용하고는 했는데 이것이 완전히 다른 기능을 하는 존재라는 것을 최근에야 이해를 했다. 우선, 쉽게 한줄로 요약을 하자면.. int 는 변수의 타입(자료형) , Integer 는 객체로 다루기 위한 클래스 1. int int : 변수의 타입(data type = 자료형) 이다. 변수 : 값을 저장할 수있는 메모리상의 공간 자료형: ‘data의 type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 형식을 정의한 것' 산술연산이 가능하다. Q. 자료형이 정확히 무엇인지 잘 모르겠어요 앞서 정의한 그대로 data의 type에 따라 값이 저장될 공간의 크기와 저장 형식 이.. 2023. 4. 12.
[Java] 09. 배열 기초 1강/ 배열선언부터 초기화까지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사용되어 지는데 이 메모리들이 중구난방 규칙성이 없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면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하기도 어렵고 복잡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인 "배열"이 있는 것이다. 배열 :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메모리의 연속된 공간에 저장하는 특징이 있고 타입이 같은 데이터 그룹을 나열해 놓고 다루기 편하게 하기위해서 만들어 놓은 자료구조 이다. 배열로 나열이 되어있는 자료구조라면, "배열이름"과 "인덱스" 만 알면 모든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배열 이름 : 기준이 되는 시작 주소 인덱스 : 데이터가 나열된 순번을 나타내는 위치 정보 (0부터 시작해 배열의 크기만큼 정해져 있다.) 0.. 2023. 3. 27.
[Java] 08. 조건문 switch ~ case / break 문 if ~ else 문은 여러 개의 조건을 지정하려면 else if 문을 계속 생성하며 코드가 길어지는 반면, switch~case 문은 비교적 코드가 쉽고 간단한게 장점이다. if 문을 switch 문으로 변환할 수 있고, switch 문을 if 문으로 변환할 수 있지만 '모든' if 의 문장을 switch 로 바꿀 수는 없다. if 는 비교연산자를 통해 범위를 지정하는 조건식을 작성 가능하지만 switch 문은 변수의 값 어떤 수치나 문자로 명시되는 경우로 분류되어 상대적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switch (변수) { case 값1 : 실행문 1; case 값2 : 실행문 2; case 값3 : 실행문 3; default : 실행문 4; } - switch문에 break; 가 없는 경우 switch .. 2023. 3. 15.
[Java] 07. 자바 String / new String ? 자바의 String: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을 다루기 위한 타입. 원시 타입(기본 타입)이라고 생각 할 수 있지만 int와 char와 달리 참조형 객체 타입이다. - 문자열이란, 일련의 문자들의 집합으로, 쉽게 말해 단어나 문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JAVA에서는 문자열을 String 클래스로 다루며, 이를 사용해 문자열을 생성하고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 String은 불변 객체이다. 한번 생성하면 그 값은 절대 바뀌지 않아 수정은 불가능하고 읽기만 가능하다. - 자바에서는 String 문자열 끼리의 + 연산으로 문자열을 합칠 수가 있고 선언한 변수 안에서 연산이 이루어지는 것 같지만 사실은 새롭게 객체를 생성 하는 것이다. - String 클래스는 java.lang 패키지에 포함.. 2023. 3. 14.
[Java] 06. 반복문 for / while 반복문은 같은 명령문을 반복해서 실행할 때 효율적으로 코딩하기 위해 필요하다. 반복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반복 횟수"이고 이를 위해서는 반복 조건식의 결과가 false가 나오면 반복이 끝나는 조건 설정을 잘 고려해야한다. 반복문이 끝나는 조건이 없는경우 무한루프에 갇히기 때문이다. [ 반복문의 구성 요소] 1. 제어변수 : 반복문을 제어하는 변수 2. 반복 조건식: 반복 횟수를 결정하는 조건식 3. 반복 실행문: 반복하여 실행할 명령문 4. 증감식: 반복 조건식의 결과가 false가 나와 반복이 끝나는 조건에 도달할 수 있도록 변수를 증감시킨다. 제어변수 int i =1; 반복 조건식 i > 10; 반복 실행문 System.out.println(i); 증감식 i++ 01) 반복문 for : 변수 선.. 2023. 3. 13.